티스토리 뷰
목차
자동차세·지방소득세 납부를 국세청 홈택스와 위택스를 통해 편리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세금 납부를 원하시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국세와 지방세, 그리고 위택스와 홈택스의 차이
세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국세: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 소득세, 부가가치세, 법인세 등.
- 지방세: 시·도 및 시·군·구 등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세금. 자동차세, 재산세, 지방소득세 등이 해당합니다.
홈택스(hometax.go.kr)는 국세청에서 운영하는 국세 납부·신고 시스템이고,
위택스(wetax.go.kr)는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지방세 납부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종합소득세 신고는 홈택스에서,
지방소득세와 자동차세 납부는 위택스에서 하면 됩니다.
자동차세 납부 방법 (위택스)
자동차세는 차량을 소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매년 납부해야 합니다. 보통 6월과 12월 두 차례 부과되며, 1월에는 연납(일괄 납부) 신청이 가능합니다.
연납 시 약 10%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어 많은 운전자들이 1월에 연납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납부 절차 (PC 기준):
- 위택스 접속
- 로그인 또는 공동인증서 인증
- '자동차세 조회/납부' 클릭
- 본인 차량 정보 조회
- 납부할 세금 선택 → 결제 (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 가능)
모바일 앱에서도 동일하게 납부 가능하며, 알림 설정을 통해 납부 기한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방소득세 납부 방법 (홈택스 → 위택스 연동)
지방소득세는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등 종합소득세 대상자가 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친 뒤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납부 시기: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후
납부 방법:
- 홈택스 접속 후 종합소득세 신고 완료
- 신고 완료 후 '지방소득세 납부 안내' 창 자동 팝업
- 안내에 따라 위택스로 연동 이동
- 지방소득세 확인 후 납부 진행
또는 별도로 지방세 고지서를 받았다면 위택스 메인 화면 > 지방소득세 조회/납부 메뉴를 통해 직접 납부도 가능합니다.
유의사항:
종합소득세 신고를 안 하면 지방소득세 납부 대상자임에도 불구하고 미납 상태가 될 수 있으니 반드시 5월 중 신고와 납부를 함께 마쳐야 합니다.
4. 세금 납부 시 유의할 점
- ❗ 납부 기한
- 자동차세: 6월/12월 말일까지, 연납은 1월 말까지
- 지방소득세: 종합소득세 신고 후 5월 말까지
기한을 넘길 경우 가산세와 지연 이자가 발생합니다. - ❗ 세금 분할 납부 불가
자동차세와 지방소득세는 원칙적으로 전액 일시납부가 기본이며, 일부 지자체에서만 분납이 가능합니다. - ❗ 전자고지 신청
위택스 또는 모바일 앱에서 전자고지 신청을 하면 이메일 또는 앱으로 고지서를 받아볼 수 있어 종이 고지서를 분실할 걱정이 없습니다.
5. 위택스 앱으로 더 간편하게
스마트폰으로도 납부가 가능합니다. 특히 직장인, 외근 중인 분들에게 매우 편리합니다.
- 앱 이름: 위택스 (WETAX)
- 주요 기능: 지방세 조회 및 납부, 전자고지, 세금 알림, 연납 신청 등
- 지원 플랫폼: 안드로이드, iOS 모두
회원가입 후 인증 절차만 마치면 웹보다 빠르게 납부할 수 있으며, 알림 기능을 설정해두면 납부 시기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지방세와 국세를 정확히 구분하고, 위택스와 홈택스를 적절히 활용하면 세금 납부는 어렵지 않습니다. 특히 자동차세 연납이나 전자고지 신청을 통해 실질적인 절세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번거롭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세금 납부. 이제는 정확한 시스템 이해와 절차만 숙지하면 누구나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눌러 위택스에 바로 접속하고, 이번 세금 납부도 깔끔하게 마무리하세요!